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6

Section 1 - Section Review Review 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다시금 기록합니다. Unit Review는 학습한 내용 중 기존에 알고 있었지만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던 정보와 새롭게 알게된 정보를 기록합니다. 추가적인 설명을 요하는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Section Review는 전반적인 Section을 되돌아보고 학습했던 시간과 과정, 내용을 총괄하여 기록합니다. 코드 스테이츠 부트캠프에 참여한지 벌써 한 달이 지났다. 그리고 오늘이 섹션 1의 마지막 날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 한 달과 섹션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무엇을 얻었고, 무엇을 잃었는가. 지금까지는 무엇을 해왔으며 앞으로는 뭘 얻으려고 노력해야 할까. 천천히 돌아보며 지난 한 달간의 나에게 칭찬과 질책을 해보고자 한다. 그래서 무엇을 얻었는가? 당연.. 2023. 3. 13.
스트림은 왜 사용해야 하는가. 오늘 부트캠프에서 스트림에 대해 배웠다. 람다와 스트림은 정말 아예 문외한이던 영역이기 때문에, 일단은 기본적인 내용을 받아들이는데 가장 힘을 썼던 것 같다. 이 스킬들을 사용하고 체득하는 데는 직접 문제 풀이나, 프로그래밍에 사용해보면서 익숙해지는 방법 밖에 없다. 결국 나의 노력에 스트림을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가 달려있다. 그런데 스트림은 왜 사용해야 할까? 사실 처음 스트림을 접했을 때는 이걸 도대체 왜 쓰나 싶었다. 지금 알아가는 것도 양이 너무나 방대한데, 새로운 메서드들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는 것이 두렵기도 했고, 스트림을 사용하기 위해선 필연적으로 람다식도 익혀야 하는데 람다식은 학교에서 배울 때 무슨 말인지 도저히 이해를 못했던 부분이라 두려움이 배가 되었다. 그럼에도 오늘 람다식과 스트림.. 2023. 3. 8.
Section 1 - Unit 8 : [Java] 심화 Review Review 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다시금 기록합니다. Unit Review는 학습한 내용 중 기존에 알고 있었지만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던 정보와 새롭게 알게된 정보를 기록합니다. 추가적인 설명을 요하는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Section Review는 전반적인 Section을 되돌아보고 학습했던 시간과 과정, 내용을 총괄하여 기록합니다. 애너테이션 * 애너테이션이란? 애너테이션은 컴파일러나 다른 프로그램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주석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verride 애너테이션은 해당 메서드가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임을 컴파일러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애너테이션의 종류 JDK에서 기본적으로 제.. 2023. 3. 8.
Section 1 - Unit 7 : [Java] 컬렉션 Review Review 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다시금 기록합니다. Unit Review는 학습한 내용 중 기존에 알고 있었지만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던 정보와 새롭게 알게된 정보를 기록합니다. 추가적인 설명을 요하는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Section Review는 전반적인 Section을 되돌아보고 학습했던 시간과 과정, 내용을 총괄하여 기록합니다. 열거형 (Enum) * Enum 타입 enum 타입은 서로 연관성 있는 상수들을 모아놓을 때 사용한다. 단순히 연관된 상수들이 많다고 enum을 사용하면 안된다. 해당 상수들에서 더 이상 변화가 없을 가능성이 높아야 사용해야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OS 는 안드로이드, MAC OS 에서 이변이 없는 한 바뀌지 않을 것이다. 이럴 때 enum을 써야 한다. 하드 .. 2023. 3. 6.
08. 값 콜렉션 Set 매핑 해당 강의는 코드 위주로 진행됩니다. 실질적인 객체 처리를 담당하는 코드는 링크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단순 값을 Set으로 보관하는 모델 role_perm은 role이 가지고 있는 권한을 보관하는 테이블이다. 이런 테이블을 Collection테이블이라고 표현한다. 이런 테이블을 자바 내에 표현하면 Role 객체 내의 Set으로 담게 표현할 수 있다. * 단순 값 Set 매핑 Role 클래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EllementCollection 과 @CollectionTable 애노테이션을 사용한다. @CollectionTable의 name 은 role_perm을 지정하고 joinColumns는 role의 id를 참조하는 칼럼, 즉 join할 때 사용할 칼럼 지정한다. 실제 값을 담을 colum.. 2023. 3. 2.
TDD는 왜 공부해야 하는가. 개발 공부를 시작한 이래로, 여러 개발 방법론을 듣고 읽고 사용해 보고자 노력했다. 최근에는 클린 코드 작성과 더불어 TDD에 대해서 공부를 진행하고 있다. TDD에 관한 자료를 찾아보면 2014년도부터 2022년까지 꾸준히 자료가 올라옴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자료는 TDD에 관한 찬반 논쟁 자료다. 말 그대로, 사람들은 TDD가 좋다 나쁘다로 거즘 10년이 되는 시간 동안 싸우고 있다. TDD는 개발 방법론 중 하나이기 때문에, 당연히 이를 사용하고 말고는 개발자 마음이다. 나 역시 TDD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기술할 예정이지만, TDD만이 절대 지존이며, 반드시 TDD만 써야 한다라고는 말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TDD를 공부하면서 느꼈던 'TDD를 사용한 개발 방법이 주는 이.. 2023.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