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6 1장. 깨끗한 코드 코드가 존재하리라 코드는 요구사항을 상세히 표현하는 수단이자 언어이다. 기계가 실행할 정도로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명시하는 작업, 바로 이것이 프로그래밍이다. 나쁜 코드와 나쁜 코드로 인해 치르는 대가 르블랑의 법칙 : "Later equals Never" 나중은 결코 오지 않는다. 우리는 시간에 쫓겨, 상사에게 혼날까 봐, 지겨워서, 업무가 많아서, 나쁜 코드를 짜고 나중에 수정하고자 한다. 그러나, 나중은 없다. 나쁜 코드는 개발 속도를 떨어뜨리고, 팀 생산성을 떨어트린다. 우리는 매번 나쁜 코드를 해독하느라 많은 시간을 낭비해야 한다. - 원대한 재설계의 꿈 시스템을 처음부터 재설계하는 하는 팀 vs 기존의 시스템을 유지보수하는 팀의 끊임없는 경주가 시작된다. 경쟁은 길어지고, 재설계 팀원이 모두 떠.. 2023. 9. 21. 0장. 들어가며 이 책은 우리 오브젝트 멘토 진영이 생각하는 깨끗한 코드를 설명한다. 우리가 가르치는 교훈을 따른다면 우리가 만끽한 이익을 여러분도 만끽하리라 감히 장담한다. 우리가 가르치는 기법을 따른다면 깨끗하고 수준 높은 코드를 작성하리라 감히 장담한다. 하지만 우리 생각이 절대적으로 '옳다'라는 단정은 금물이다. 우리들 못지않게 경험 많은 집단과 전문가가 존재한다. 마땅히 그들에게서도 배우라고 권한다. 해당 카테고리는 로버트 마틴의 서적인 클린 코드를 읽고 학습한 바를 정리하고자 만든 카테고리입니다. 최근 클린 코드라는 서적, 그리고 로버트 마틴에 대한 비판의 의견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린 코드 서적을 공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적인 원칙은 세우고 가고자 합니다. 자신.. 2023. 9. 21. [Programmers] 등굣길 - 동적 프로그래밍 🔗 Link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98 🤔 Think 우아한테크캠프 코딩테스트 문제 중 거의 똑같은 형태의 문제를 풀었던 기억이 있어서 풀이법을 쉽게 떠올릴 수 있었습니다. 아래 또는 오른쪽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굉장히 쉽게 풀이가 가능합니다. [a , b]에 도달하는 최단거리는 [a-1 , b]까지 도달하는 최단 거리의 수 + [a , b-1]까지 도달하는 최단 거리의 수 입니다. 최단거리로 도달할 수 없는 지역은 -1로 처리했습니다. 0으로 처리하면 초기화 한 이차원 배열에서 초깃값과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이후 2차원 배열을 채워나갑니다. O(N^2)만큼의 시간복잡도가 발생합니다. 🔎 Solve n행 m열 크기의.. 2023. 9. 20. Pull Request 000 - 시작하기에 앞서 TDD 공부를 시작한 이래로, 다른 여러 일들이 겹쳐 이론적인 공부 수준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지금은 부트캠프도 전부 마무리 되었고 공부하고자 하는 방향성도 뚜렷하기 때문에 이제는 지금까지 공부한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프로젝트는 간단한 커뮤니티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는 바버샵을 5년째 다니고 있는데, 찾아보니 바버들을 위한 커뮤니티가 적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터넷 상에도 미용업계를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는 꽤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이용업계를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에 부차적인 서비스로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나를 전담해주는 바버 형도 바버들을 위한 커뮤니티는 따로 없는 것 같다고, 있으면 좋겠다고 하더라. 거기서 인사이.. 2023. 9. 14. 스프링 진영에서의 DI 지난 면접에서 왜 DI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고 명확하게 대답하지 못 해 해당 부분을 다시 공부하고자 한다. 물론 해당 부분은 이전에 공부했었던 부분이다. 다만 기억해내지 못했을 뿐이다. 이번 기회를 통해 다시 한 번 DI를 사용하는 이유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지원하는 DI 방법 등을 공부하고 체화시켜보고자 한다. DI(Dependency Injection)는 왜 사용할까? 가장 기본으로 돌아가보자. 의존성 주입은 왜 사용할까? 기술적인 이유에 앞서, 개념적으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 의존하는 대상을 직접 생성하는 것은 개념적으로 맞지 않다. DI는 의존하는 대상을 외부에서 주입해주는 것이다. '의존'한다는 것은 그럼 무엇일까? 말 그대로 의존한다는 것이다. 즉, '특정 대상이 없으면 존재할수.. 2023. 9. 8. <9/5> 이것은 한 명의 인간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인가...? 글을 작성하는 시점은 하루 지난 9/6일이다. 아마 '어제'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할 것 같은데, 날짜가 헷갈린게 아니라 하루 늦게 글을 작성해서 그런 것이니 양해해주시길 부탁드린다. 사람은 태어나서 수많은 첫 경험을 한다. 처음 숨을 쉬고, 처음 사람을 만나고, 처음으로 배변활동도 해보고, 처음으로 울어도 본다. 조금 더 크면 처음으로 친구를 사귀고, 처음으로 교육을 받으며, 처음으로 혼이 나보기도 한다. 처음으로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 첫 사랑도 해보고, 첫 이별도 해본다. 그렇게 수많은 첫 경험을 하고 나면, 비로소 '나는 좀 컸다' 라고 생각이 들곤한다. 그러나 아직 세상은 넓고 해보지 못 한 경험은 많으며 여전히 우리는 어리다. 어제는 첫 면접을 봤다. 비로소 사회로 나가는 첫 걸음을 뗀 것이다. .. 2023. 9. 6.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