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Clean Architecture
3장. 패러다임 개요
JKROH
2023. 10. 17. 15:37
반응형
구조적 프로그래밍 : 제어흐름의 직접적인 전환에 대해 규칙을 부과한다.
- 에츠허르 비버 데이크스트라
- 무분별한 점프(goto 문장)는 프로그램 구조에 해롭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 점프를 if / then / else와 do / while / until과 같이 익숙한 구조로 대체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제어흐름의 간접적인 전환에 대해 규칙을 부과한다.
- 올레 요한 달 & 크리스텐 니가드
- 알골 언어의 함수 호출 스택 프레임을 힙으로 옮기면, 함수 호출이 반환된 이후에도 함수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 이 함수가 클래스의 생성자가 되었다. 지역 변수는 인스턴스 변수가 되고, 중첩 함수는 메서드가 되었다.
- 함수 포인터를 특정 규칙에 따라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필연적으로 다형성이 등장하였다.
함수형 프로그래밍 : 할당문에 대해 규칙을 부과한다.
- 가장 먼저 등장한 패러다임으로, 수학에서의 람다 계산법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 람다 계산법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불변성으로, 심볼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는 개념이다.
- 즉, 함수형 언어에는 할당문이 전혀 없다는 뜻이다.
- 사실 실제로는 대다수의 함수형 언어가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굉장히 까다로운 조건 아래에서만 가능하다.
생각할 거리
- 위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패러다임은 프로그래머에게서 권한을 박탈한다는 것이다.
- 패러다임은 부정적인 의도를 가지는 일종의 추가적인 규칙을 부과한다. 즉, 패러다임은 무엇을 해야 할지를 말하기보다는 무엇을 해서는 안되는지를 말해준다.
결론
- 우리는 아키텍처 경계를 넘나들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다형성을 이용한다.
- 우리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이용해 데이터의 위치와 접근 방법에 대한 규칙을 부과한다.
- 우리는 모듈의 기반 알고리즘으로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사용한다.
- 즉, 패러다임은 어떤 면에서든 아키텍처와 연관관계가 있다.
- 세 가지 패러다임과 아키텍처의 세 가지 큰 관심사(함수, 컴포넌트 분리, 데이터 관리)가 어떻게 서로 연관되는지에 주목하자.
반응형